티스토리 뷰
게임 시장 평정한 배틀그라운드 성공 전략
배틀그라운드 성공요인
국내 게임산업 사상 전 세계적으로 이렇게나 큰 인기를 끈 작품은 없었다. 한국 중견 게임사 블루홀과 자회사 펍지가 만든 '플레이어 언노운스 배틀그라운드(Player Unknown's Battlegrounds) 이야기다.
배틀그라운드는 최대 100명의 이용자가 고립된 섬에 들어가 최후의 한 명이 살아남을 때까지 생존 싸움을 벌이는 게임이다.
배틀그라운드의 성공요인은 ① 기존 게임 흥행공식을 따르지 않는 참신성 ② 글로벌 협업 프로젝트와 애자일(Agile) 전략 ③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꼽는다.
배틀그라운드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국내 게임업계 흥행 공식과는 현저하게 달랐기 때문이다. 대세인 모바일 게임이 아니라 PC 기반의 온라인 게임이었고 유행이 한참 지난 총싸움(Shooting) 게임이었다.
이전의 총싸움 게임은 무조건 상대방을 많이 죽이고 전멸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다. 게임 속 캐릭터가 죽을 경우 일정 시간 뒤 부활해 상대방 진영으로 돌격하는 것을 반복한다. 지루해지기 쉬웠다.
반면 베틀 로열은 상대방을 죽이는 것 못지않게 하나뿐인 내 목숨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새로운 콘셉트는 게임 시장을 뒤흔들었다. 현재 전세계 총싸움 게임의 주류는 배틀 로열 장르로 넘어갔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다.
'포트 나이트' 등 비슷한 종류의 배틀 로열 게임이 배틀그라운드의 뒤를 이어 출시되고 연달아 인기를 끌면서 배틀 로열 게임은 게임 시장의 새로운 흥행 공식이 되었다.
배틀그라운드는 게임 개발 및 유통 단계에서부터 글로벌 협업 프로젝트와 애자일 전략을 적극 활용했다. 배틀그라운드는 국적이나 유명세와 관계없이 전 세계의 개발자들을 발굴했다.
이렇게 모인 개발진은 출신국이 12개국에 달했다. 영어를 사용하고 온라인 업무 메신저인 슬랙을 활용함으로써 수평적인 소통이 오가는 글로벌 협업 프로젝트를 구축했다.
한번 승인한 프로젝트는 개발과정에 경영진이 간섭하지 않는 모회사 블루홀의 기업문화도 주효했다. 애자일 전략은 미리 정해진 계획을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 변화나 피드백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해나가는 전략이다.
또한 배틀그라운드는 본 버전 출시에 앞서 얼리 액세스 버전을 먼저 선보였다. 얼리 액세스 버전에 대한 이용자들의 피드백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게임에 신속하게 반영함으로써 호응을 끌어냈다.
이용자들에게 소통하는 게임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준 것이다. 배틀그라운드는 소자본 마케팅의 핵심으로 떠오른 온라인 인플루언서(influencer) 마케팅의 모범 사례다.
인플루언서는 흔히 인터넷 세상에서 영향력 있는 개인이나 단체를 의미한다. 게임의 기본적인 골격을 만든 뒤 개발진은 개인방송 플랫폼인 트위치 방송 진행자(스트리머) 128명에게 공개 테스트를 부탁했다.
블루홀이 제공한 맞춤 설정을 통해 스트리머는 독특하고 재미있는 방송을 만들어 시청자 유입 효과를 얻었다. 블루홀 역시 게임 홍보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새로운 사업 아이템과 콘텐츠를 준비 중이라면 배틀그라운드의 성공 공식은 좋은 참고점이 된다. 개인 미디어와 인플루언서가 확대되고, 커뮤니티를 통한 의견교환이 활발해지면서 이것을 빠르게 받아들일 수 있는 유연한 조직이 중요해진다. 앞으로 콘텐츠와 아이템의 경쟁력은 이용자의 반응을 어떻게 유도하고, 얼마나 잘 소통하고, 발 빠르게 적용하느냐로 결정될 것이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T 활용 반려동물 헬스케어 시장 (0) | 2021.04.28 |
---|---|
기상이변 원인,기상이변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21.04.18 |
기준금리_ 의미,경제에 미치는 영향 (0) | 2021.04.13 |
이커머스(e-Commerce) 트렌드 및 시장변화 (0) | 202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