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흥선대원군 가계도_고종, 순종, 명성황후

조선 후기 왕이 아니면서 왕과 같은 권력을 가졌었고 드라마와 영화 그리고 소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조선시대 인물이 아마 흥선대원군 이하응이다. 또한 흥선대원군 하면 가장 많이 떠오르는 인물이 아들인 고종이 아니고 며느리인 명성황후이다.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는 정치적 라이벌이고 서로를 증오했다.

흥선대원군 가계도

흥선대원군은 몰락한 왕족의 후손이다. 사도세자와 후궁 사이에 태어난 두 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한 사람은 은언군이고 한 사람은 은신 군이다.

 

: 남연군(사도세자 아들 은신군에게 입적함)

: 여흥군 부인 민씨

부인 : 영흥부대부인(대한제국 제후비로 추존됨)

측실 : 계성월, 추선, 서씨

아들 : 장남 재면(완은군), 차남 고종, 서장남(측실에서 태어난 아들) 재선

: 2명

손자 : 순종, 의친왕, 완친왕

 

사도세자와 정비 혜경궁 홍 씨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 "정조"이다. 정조 사후 정조의 아들과 증손자(헌종)가 왕위를 물려받았지만 헌종이 죽고 나서 왕위를 이을 사람이 없었다.

 

정조가 죽고 나서 순조가 어린 나이에 즉위를 하여 수렴청정이 실시되었고 이때부터 세도가들이 왕권을 넘어서 절대 권력을 가진 "세도정치"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세도가들이 헌종이 죽자 다음 왕을 강화도에 있는 "철종"을 모시고 와서 왕위에 올렸다. 철종은 앞서 말한 사도세자와 후궁 사이에 태어난 은언군의 손자이다.

 

철종 또한 후사가 없이 죽자 은신 군의 손자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을 왕위에 오르게 되는데 이가 바로 "고종"이다. 어린 아들이 왕위에 오르자 흥선대원군이 10년 동안 실질적인 왕권을 행사했다.

 

우리가 아는 것처럼 흥선대원군은 당시 세도가로부터 목숨을 부지하고자 미친척하고 다닌 것으로 유명하다. 당시에 세도가는 안동 김 씨이고 이러한 안동 김 씨의 눈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그러한 행동을 했다고 한다.

 

철종이 죽고 왕의 지명권을 가진 조대비는 안동 김 씨를 싫어했고 이러한 것을 눈치챈 흥선대원군의 제안으로 조대비는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을 왕위 계승자로 지명한다.

 

흥선대원군은 실권을 잡자 그동안 세도정치에 의해서 피폐해진 민심을 잡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노력했다. 서원을 철폐하고 궁궐을 보수하는 정책을 시행했지만 많은 문제를 야기시켰다.

 

특히 쇄국정책으로 인해서 조선이 개화할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린 것이 가장 큰 실수이다. 또한 외척들의 집권을 막기 위해서 고종의 왕비를 세력이 미비한 민 씨를 왕비로 삼았지만 나중에 왕비인 명성황후와 정치적인 라이벌이 된다.

 

고종

조선 26대 왕이면서 조선 최초의 황제이다.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스스로 황제가 되었지만 이미 기울어져 가는 조선에서 황제는 의미가 없었다.

 

어려서 즉위를 해서 초기에는 아버지지 흥선대원군에 의해서 성인이 되어서는 왕비인 명성황후에 의해서 대부분의 국정이 운영되었다.

1905년 국권을 넘기는 치욕을 맞이했지만 나름 국권을 회복하려고 노력을 했다. 하지만 헤이그 밀사 사건이 발생하자 일본에 의해서 강제로 퇴위당했다.

 

이후 아들 순종에게 왕위를 물려주었고 1919년에 승하하였다. 고종의 죽음에 대해서는 독살설이 끊이지 않았는데 그만큼 일본도 부담스러워하는 존재였다.

 

순종

고종과 명성황후 사이에 태어나서 장성한 유일한 아들이다. 아버지가 강제로 퇴위당하고 일제에 의해서 왕위에 올랐다.

 

순종은 즉위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그만큼 일본에 의해서 강제로 왕위에 오르는 것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허울만 왕이었고 아무런 실권이 없었다.

 

순종은 1907년 왕위에 오르고 1910년에 한일합병 조약이 체결되고 왕위에서 물러나게 된 것이다. 결국 3년 정도 왕위에 있었지만 유명무실했다.

 

명성황후

시아버지 흥선대원군에 의해서 고종의 정비로 간택되었다. 흥선대원군의 바람과는 정반대로 세력을 형성하고 정치에 관여를 하게 되었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정치적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고 흥선대원군을 실각시켰다. 하지만 흥선대원군에 의해 폐비가 될 뻔하기도 하고 암살을 당할 뻔하기도 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일제에 의해서 시해되었다. 개화파들과 일본이 무척 싫어했고 그들과 정치적으로 적대관계였다.

 

장남 이재면

고종의 친형이다. 흥선대원군은 장남인 이재면이 아니 차남을 왕으로 만들었다. 장남 이재면은 아버지 흥선군 시절에 과거에 급제했고 도승지를 비롯한 요직에 있었다.

 

흥선대원군이 고종과 명성황후와 갈등 관계일 때 고종을 폐위시키고 장남을 즉위시키려는 쿠데타를 기도하기도 했다. 그래서 고종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흥선대원군 가계도, 고종, 순종, 명성황후를 살펴보면 나라를 생각하기보다는 개인적인 욕망이 더 커서 결국 조선을 멸망의 길로 이끈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2021.11.19 - [분류 전체보기] - 조선 후기 왕_순조,헌종,철종,고종,순종

 

조선 후기 왕_순조,헌종,철종,고종,순종

조선 후기 왕_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조선의 정상적인 왕은 정조가 마지막이라고 이야기한다. 정조가 급서하고 그의 어린 아들이 왕위에 오른다. 그가 바로 조선 23대 왕 순조이다. 순조가

osook15.tistory.com

2022.04.12 - [분류 전체보기] - 조선 왕조 계보, 조선 왕 가계도

 

조선 왕조 계보, 조선 왕 가계도

조선 왕조 계보,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은 약 500년간 27명의 왕이 다스렸습니다. 살아서는 왕에 오르지 못했지만 사후에 임금의 자리에 오른 추존왕을 포함한다면 조금 더 많습니다. 태조 이성계부

osook15.tistory.com

2021.05.08 - [분류 전체보기] - 조선왕조 의문의 죽음들_독살이 의심되는 죽음, 소현세자,효명세자,정조,경종,고종,인종

 

조선왕조 의문의 죽음들_독살이 의심되는 죽음, 소현세자,효명세자,정조,경종,고종,인종

조선왕조 의문의 죽음들_독살이 의심되는 죽음, 소현세자, 효명세자, 정조, 경종, 고종, 인종 정조, 효명세자, 소현세자, 경종, 고종, 인종의 공통점은 갑작스러운 죽음과 과정이 석연치 않아 많

osook15.tistory.com

2021.03.08 - [분류 전체보기] - 명성황후,인수대비,문정왕후,정순왕후_수렴청정과 절대권력의 왕비들

 

명성황후,인수대비,문정왕후,정순왕후_수렴청정과 절대권력의 왕비들

명성황후, 인수대비, 문정왕후, 정순왕후_수렴청정과 절대권력의 왕비들 절대권력을 가졌던 조선시대 왕비 왕비는 왕의 정실부인을 말한다. 대부분 왕의 조력자 정도의 역할을 했지만 절대 권

osook15.tistory.com

2022.06.12 - [분류 전체보기] - 재위기간이 짧은 조선왕_인종,예종,문종,정종,순종,단종,경종

 

재위기간이 짧은 조선왕_인종,예종,문종,정종,순종,단종,경종

재위 기간이 짧은 조선왕_인종, 예종, 문종, 정종, 순종, 단종, 경종 조선왕의 평균 재위 기간은 19년 정도이다. 보통 23살에 즉위하고 47세에 사망했다. 하지만 7명의 왕은 재위 기간이 4년을 넘지

osook15.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