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도쿠가와 이에야스, 에도막부시대 쇼군

우리에게는 소설로 유명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에도막부시대를 열고 첫 번째 쇼군이 된 인물이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이야기하면 항상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같이 거론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한마디로 평가한다면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참고 또 참는 인내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감정을 들어내지 않고 인내하는 것이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힘이었다.

 

전국시대를 최초로 통일한 사람은 "오다 노부나가" 허무하게 죽고 나서 권력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로 넘어간다. 하지만 최종 승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이다.

 

3 사람을 비교하는 아주 대표적인 말이 있다. 울지 않는 새는 죽인다(오다 노부나가), 울지 않는 새는 울게 만든다(도요토미 히데요시), 울지 않는 새는 울 때까지 기다린다(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오다 가문과 이마가와 가문의 인질로 어린시절을 보내고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서 아들도 죽이고 와이프도 볼모로 보내는 비참한 생활을 했다.

 

성인이 되어서 오다 노부나가의 수하에 들어가 수많은 전투를 치르기도 했다. 하지만 묵묵히 자신의 세력을 형성하는데 최선을 다했다.

 

이에야스의 아버지는 부하의 배신으로 살해 당하고 이에야스는 이마가와 가신으로 목숨을 겨우 부지했다. 하지만 오다카성 전투를 기점으로 명성을 얻었다.

 

이후 이마가와 가문과 결별하고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을 맺었고 독자적인 길을 가게 되었다. 하지만 다케다 신켄의 공격을 받는 등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오다 노부나가가 가신의 배신으로 죽임을 당한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집권을 하자 이번에는 히데요시와 화해를 하고 히데요시 수하에 들어갔다.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켰을 때에는 직접적으로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자신의 세력을 온전하게 지킬 수 있었고 이후 히데요시 사후 집권하는데 커다란 힘이 되었다.

 

히데요시가 죽은 다음 그 아들인 히데요리를 추종하는 세력과 대권을 놓고 전투를 하게 된다. 그 유명한 "세키가하라"전투에서 미쓰나리가 주축인 서군과 도쿠가 이에야스를 중심으로 한 동군이 전투를 하게 된다.

이전 투에서 서군의 주측 세력인 히데요시의 조카 고바야카와 해데요키의 배신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승리를 하게 되고 전국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이후 히데요시의 세력을 차근차근 제거하면서 자신에게 위협이 되는 모든 세력을 제거한다. 그리고 마침내 1603년 천황으로부터 쇼군으로 임명받는다.

 

이때부터 메이지 유신까지 일본은 쇼군에 의해서 통치되는데 도쿠가와 가문이 실질적으로 일본을 통치하게 되는 것이다. 1607년 쇼군에서 물러나 오고 쇼(물러난 쇼군)가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히데요시의 잔존세력과 무사들이 오사카 성에 모이면서 다시 한번 전쟁을 하게 되었는데 이에야스는 히데요리를 포함한 도요토미 가문 사람 모두를 죽였다. 그리고 얼마 후 이에야스도 죽었다.

 

이후 약 260년에 걸쳐서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시대가 왔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에도막부 시대 쇼군으로 일본을 평화의 시대로 이끈 인물로 평가 된다.

 

2022.04.12 - [분류 전체보기] - 조선 왕조 계보, 조선 왕 가계도

 

조선 왕조 계보, 조선 왕 가계도

조선 왕조 계보, 조선 왕 가계도 조선은 약 500년간 27명의 왕이 다스렸습니다. 살아서는 왕에 오르지 못했지만 사후에 임금의 자리에 오른 추존왕을 포함한다면 조금 더 많습니다. 태조 이성계부

osook15.tistory.com

2022.05.26 - [분류 전체보기] - 숙종 가계도,숙종 계보_장희빈,경종,영조

 

숙종 가계도,숙종 계보_장희빈,경종,영조

숙종 가계도, 숙종 계보_장희빈, 경종, 영조 드라마와 영화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이 장희빈이다. 숙종은 장희빈의 남편이지만 장희빈보다 유명하지 않다. 숙종은 조선 19대 왕으로 조선 중

osook15.tistory.com

2022.04.06 - [생활정보] - 제사의 종류와 지내는 방법_기제사,차례, 묘제(시제)

 

제사의 종류와 지내는 방법_기제사,차례, 묘제(시제)

제사의 종류와 지내는 방법_기제사, 차례, 묘제(시제) 우리가 제사를 지내기 시작한 것은 아주 오래되었으나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해 온 것만은 사실입니다. 제사의 기본 정신인 공경과 정성

osook15.tistory.com

2021.11.18 - [분류 전체보기] - 인조가계도,인조 계보_소현세자,봉림대군(효종), 민회빈 강씨,밀풍군

 

인조가계도,인조 계보_소현세자,봉림대군(효종), 민회빈 강씨,밀풍군

인조가계도, 인조 계보_소현세자, 봉림대군(효종), 민회빈 강씨, 밀풍군 인조는 선조의 손자로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조선 16대 왕이 되었다. 조선시대 성공한 반정은 두 번이다. 연

osook15.tistory.com

2021.03.21 - [생활정보] - 중국 명절,공휴일_ 춘절, 원소절, 단오절, 중추절, 청명절

 

중국 명절,공휴일_ 춘절, 원소절, 단오절, 중추절, 청명절

중국 명절, 공휴일_춘절, 원소절, 단오절, 중추절, 청명절 중국의 공휴일은 국무원령에 의해 실시되고 있고, 국무원령의 표기에 의하면 명절이나 공휴일을 년절(年節)이라 합니다. 소수민족의 전

osook15.tistory.com

 

댓글